World이탈리아

‘한지와 문화재 복원에 관한 한-이탈리아 심포지엄’ 개최

박근혜 대통령의 이탈리아 방문 및 2014년 한-이탈리아 수교 130주년을 기념하여, 외교부와 문화재청은 공공외교 사업의 일환으로 10.15(수) 로마에서 ‘한지와 문화재 복원에 관한 한-이탈리아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외교부/문화재청 공동주최 및 주이탈리아대사관과 이탈리아 도서병리학연구소(ICRCPAL/문화재 복원·보존 연구기관) 주관으로 개최된 이번 심포지엄에는 문화재청 소속 국립문화재연구소의 김순관 학예연구관과 국민대학교 김형진 교수가 발표자로 참가하여, 보존·복원재로서의 우리 한지의 특성과 한지를 활용한 고문서 보존사례를 설명하였다.

심포지엄에 참석한 유럽의 중견 복원 및 보존처리 전문가들은 지류 문화재 복원 및 보존처리에 한지가 적합한 소재일 수 있다는 의견을 보이면서, 한지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이번 심포지엄에서 우리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실제 우리 기록유산 복원·보존에 사용하고 있는 한지 샘플 3종(문경한지, 의령한지, 장지방한지)를 이탈리아 도서병리학연구소에 전달하였다. 도서병리학연구소는 우리 한지 샘플이 서양의 고문서 및 회화를 복원·보존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지 적합성 테스트를 실시할 예정이다.

그동안 우리 한지는 양피지로 된 서양 고문서의 보존·복원에 적합한 소재로 평가받아 왔다. 이번 적합성 테스트 결과가 좋을 경우, 우리 한지가 유럽 고문서와 회화의 복원 및 보존처리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심포지엄 계기에 문화재청과 이탈리아 문화유산부 사무국(General Secretariat)은 ‘문화유산 분야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유네스코, 무형문화재, 문화유산 연구기관, 박물관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양국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지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한지의 對유럽 수출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활동으로 한지가 세계 보존과학 시장에 진출할 기회가 마련되고, 한지의 유럽시장 진출 가능성을 한층 높여준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 6월에도 유럽 복원전문가를 대상으로 한지를 활용한 문화재 복원에 관한 국제 워크숍을 밀라노에서 개최한 바 있으며, 앞으로도 지자체와 한지제조업체 등과 협력하여 한지 상품을 홍보하는 등 한지의 유럽 진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갈 예정이다.

Show More

Related Articles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Back to top button